대함 미사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함 미사일은 함선 공격에 사용되는 유도 미사일로, 영어 "Anti-ship missile"을 번역한 용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도 기술의 발달과 함께 발전해왔으며, 냉전 시기 소련의 해양 거부 전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대함 미사일은 발사 플랫폼에 따라 함상 발사형(SSM), 공중 발사형(ASM), 지상 발사형, 잠수함 발사형으로 분류되며, 유도 방식, 속도, 사거리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현대 해군 함정에 심각한 위협이 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항공모함 기동 부대의 전투 초계, 레이더 시스템, 지대공 미사일, 전자전 장비, 미끼 시스템 등 다양한 방어 수단이 사용된다. 주요 대함 미사일로는 지르콘, 3M-54 클럽, 하푼, 엑조세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은 해성 미사일 등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사일 종류 - 대잠 미사일
대잠 미사일은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해 개발된 미사일로, 유도 어뢰를 탑재하여 원거리에서 적 잠수함을 공격하며 수상함, 잠수함, 항공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용되어 적 잠수함에 대한 억지력을 제공하는 핵심 전력으로 사용된다. - 미사일 종류 - 공중 발사 탄도 미사일
- 대함 미사일 - 미사일 보트
- 대함 미사일 - 대함탄도미사일
대함탄도미사일은 해상 함정을 공격하기 위해 개발된 탄도 미사일로, 과거 개발 시도가 있었으나 중단되었고, 중국의 실전 배치와 후티 반군의 실전 사용으로 위협이 현실화되었다. - 해전 - 대함탄도미사일
대함탄도미사일은 해상 함정을 공격하기 위해 개발된 탄도 미사일로, 과거 개발 시도가 있었으나 중단되었고, 중국의 실전 배치와 후티 반군의 실전 사용으로 위협이 현실화되었다. - 해전 - 통킹만 사건
통킹만 사건은 1964년 북베트남 해안에서 발생한 미 해군 구축함 공격 주장을 둘러싼 사건으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본격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이후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대함 미사일 | |
---|---|
개요 | |
![]() | |
유형 | 대함 미사일 |
개발 국가 | 미국 |
상세 정보 | |
작동 고도 | 해면 스키밍 |
추진 방식 | 제트 또는 로켓 |
유도 방식 | 관성 유도 액티브 레이더 호밍 |
사거리 | 초기 모델: 45 ~ 55해리 (83 ~ 102km) 최신 모델: 135해리 (250km) 이상 |
속도 | 아음속 (하푼) 초음속 (일부 러시아/중국 미사일) |
탄두 | 고폭탄 운동 에너지탄 |
플랫폼 | 함선 잠수함 항공기 지상 발사대 |
역사 | |
개발 시기 | 1960년대 후반 |
실전 배치 | 1970년대 초 |
주요 사용 국가 | 미국 러시아 중국 기타 다수 국가 |
특징 | |
주요 목표 | 적 함선 (군함, 상선 등) |
공격 방식 | 해면 스키밍 (낮은 고도로 접근하여 회피 기동을 어렵게 함) 탑 어택 (상부에서 공격하여 방어 시스템을 무력화) |
대항 수단 | 채프/플레어 전자전 CIWS (근접 방어 무기 시스템) 기만체 |
종류 | |
서방 | 하푼 엑조세 펭귄 NSM LRASM |
러시아/중국 | P-700 그라니트 Kh-35 P-800 오니크스 YJ-12 YJ-18 CM-302 |
2. 어원
"대함 미사일"이라는 용어는 영어 "Anti-ship missile"을 번역한 것이다. 영문 약어로는 "AShM" 또는 "ASHM"이 주로 사용되며, 이는 공대지 미사일(ASM), 대잠 미사일(ASWM), 위성공격 미사일(ASATM)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1][2] "AShM"과 "ASM"은 "대함 미사일"의 약어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1][2]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대함 무기로는 포병 무기나 로켓탄, 어뢰, 무유도 폭탄 등이 사용되었다. 그 후, 먼저 유도 폭탄으로서 정밀 유도 무기(PGM)의 도입이 시도되었고, 1943년에는 독일 공군이 프리츠 X를, 1945년에는 미국 해군이 배트를 실전 투입하여, 전자는 이탈리아 해군의 전함 "로마"를 격침하는 전과를 올렸다. 또한 대일본 제국 육군도 케호 폭탄을 개발했지만, 이쪽은 실용화에 이르지 못했다.
3. 역사
대전 말기의 시점에서 이미 독일 공군이 추진 장치를 갖춘 Hs.293을 실전 투입했던 것처럼, 종전 후에는 순항 미사일로서의 ASM이 주류가 되었다. 다만 대지 무기로 개발된 페이브웨이 등의 레이저 유도 폭탄이 대함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고, 2000년대에 배치된 LJDAM에서도 대함 공격이 상정되고 있다. 또한 항공자위대에서도 ASM을 장비하는 것과 병행하여, 대공 화력이 빈약한 목표를 공격하기 위한 대함용 유도 폭탄으로 91식 폭탄용 유도 장치(GCS-1)를 개발・배치하고 있다.
냉전 시대 동안 소련은 잠수함, 기뢰, 그리고 대함 미사일에 집중하는 해양 거부 전략으로 전환했다. 이러한 결정의 결과 중 하나는 SS-N-2 스틱스 미사일이었다. 더 많은 제품들이 뒤따랐고, 그들은 곧 소련 공군의 Tu-95 베어와 Tu-22 블라인더 폭격기에 탑재되었다. 공중 발사 KS-1 코멧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1967년, 이스라엘 해군의 구축함 INS 에일라트는 함정에서 발사된 미사일에 의해 침몰된 최초의 함선이었다. 이는 시나이 반도 밖에서 이집트 코마급 미사일 보트에 의해 발사된 다수의 스틱스 미사일이 원인이었다.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인도 해군은 스틱스를 사용하여 카라치의 파키스탄 해군 기지를 공격하는 두 차례의 공격을 감행했다. 이 공격으로 파키스탄 해군의 약 3분의 2가 파괴되거나 무력화되었다. 주요 손실로는 구축함 2척, 유조선, 탄약선, 약 12척의 상선, 그리고 다수의 소형 선박이 있었다. 연료 저장 탱크 및 해군 시설을 포함한 주요 육상 시설도 파괴되었다.
라타키아 해전은 1973년 (욤 키푸르/라마단 전쟁 중) 미사일 보트 간의 세계 최초의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이 전투에서 이스라엘 해군은 전자전과 기만을 방어 수단으로 사용하여 시리아 함선에 피해를 입히지 않고 시리아 함선을 파괴했다. 시리아 해군을 격파한 후 이스라엘 미사일 보트는 또한 다수의 이집트 함선을 침몰시켰고, 이 역시 어떤 피해도 입지 않았으며, 이로써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완전한 해군 우위를 달성했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대함 미사일이 사용되었다. 영국 해군의 42형 구축함 HMS 셰필드는 공중 발사 엑조세 미사일 1발에 피격되어 침몰했다. 컨테이너선 애틀랜틱 컨베이어는 엑조세 미사일 2발에 맞아 화재로 파괴되었고, 예인 중 침몰했다. HMS 글래모건은 아르헨티나 해군 구축함 ARA 코모도로 세구이에서 떼어낸 발사기를 트레일러에 장착하여 발사한 엑조세 함정 발사 버전(MM38)에 피격되었으나, 회피 기동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했다. 아르헨티나 공군은 프랑스제 엑조세 미사일을 사용하여 영국 해군 구축함 셰필드와 수송선 애틀랜틱 컨베이어를 격침시켜, 큰 충격을 주었다.
1987년, 이라크 미라주 F-1 전투기가 발사한 엑조세 대함 미사일이 미국 해군 유도 미사일 프리깃 USS 스타크에 명중했다. ''Stark''는 피해를 입었지만 임시 수리를 위해 우호적인 항구로 항해할 수 있었다. 같은 해 10월에는 리베리아 선적의 미국 소유 유조선인 ''Sungari''와 미국 선적의 쿠웨이트 유조선인 Sea Isle City가 이란 HY-2 미사일에 피격되었다.
1988년 프레이잉 맨티스 작전에서 페르시아만에서 미국과 이란 군대가 모두 대함 미사일(AShM)을 발사했다. 이 해전에서 여러 이란 군함이 미국 AShM (및 대함 역할에서 이중 역할을 수행하던 미 해군의 스탠다드 미사일 - 지대공 미사일)에 맞았다. 미국 해군은 Sahand에 세 개의 하푼 미사일, 네 개의 AGM-123 스키퍼 로켓 추진 폭탄, 하나의 월아이 TV 유도 폭탄, 그리고 여러 개의 "철제 폭탄"을 명중시켰다. 많은 탄약과 성공적인 명중에도 불구하고 ''Sahand''는 화재가 그녀의 탄약고에 도달하여 폭발하면서 침몰할 때까지 침몰하지 않았다. 같은 교전에서 미국 군함은 이란 해군 코르벳함에 세 발의 스탠다드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 코르벳함은 물 위로의 돌출부가 너무 낮아서 몇 분 후에 도착한 하푼 미사일이 표적 레이더로 이를 추적할 수 없었다.
2006년, 레바논 헤즈볼라 전사들은 이스라엘 코르벳 INS 하니트에 대함 미사일을 발사하여 전투 피해를 입혔지만, 이 군함은 자력으로 이스라엘로 돌아갔다. 이와 같은 일제 사격에서 두 번째 미사일은 이집트 상선을 명중시켜 침몰시켰다.
2022년 4월 13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 순양함 ''모스크바''를 두 발의 R-360 넵튠 미사일로 공격하여 침몰시켰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정부는 이 공격을 확인하지 않았지만, 선박이 화재 후 침몰했다고 인정했다. 우크라이나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모스크바''는 미국 해군 퇴역 대령이자 미 태평양 사령부 합동 정보 센터의 전 작전 국장인 칼 슈스터에 따르면 미사일에 의해 무력화되거나 파괴된 가장 큰 군함일 수 있다.
1991년 2월 25일, 제1차 걸프 전쟁 중에는 이라크의 실크웜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미주리''가 발사한 채프를 ''재럿''의 팰랭스 시스템이 오인하여 ''미주리''에 사격을 가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글로스터에서 씨 다트 미사일이 발사되어 이라크 미사일을 파괴했고, 해상 전투에서 미사일이 미사일을 요격하는 최초의 성공적인 교전을 달성했다.
2016년 이후 홍해와 바브엘만데브 해협 일대에서 후티 반군과 미 해군 함정 간의 대함 미사일 교전이 여러 차례 발생했다. 특히 2016년 10월에는 USS 메이슨이 여러 차례 미사일 공격을 받았으며, 대응 과정에서 RIM-162 ESSM과 SM-2 스탠다드 미사일을 사용하여 접근하는 미사일을 요격했다. 이는 함정 기반 대공 미사일이 전투에서 사용된 최초의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2023년과 2024년에도 홍해와 아덴만에서 후티 반군이 발사한 대함 탄도 미사일 및 순항 미사일을 미 해군이 요격하는 사건이 계속 발생했다.
3.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대함 무기로는 포병 무기나 로켓탄, 어뢰, 무유도 폭탄 등이 사용되었다. 그 후, 먼저 유도 폭탄으로서 정밀 유도 무기(PGM)의 도입이 시도되었고, 1943년에는 독일 공군이 프리츠 X를, 1945년에는 미국 해군이 배트를 실전 투입하여, 전자는 이탈리아 해군의 전함 "로마"를 격침하는 전과를 올렸다. 또한 대일본 제국 육군도 케호 폭탄을 개발했지만, 이쪽은 실용화에 이르지 못했다.
대전 말기의 시점에서 이미 독일 공군이 추진 장치를 갖춘 Hs.293을 실전 투입했던 것처럼, 종전 후에는 순항 미사일로서의 ASM이 주류가 되었다.
3. 2. 냉전 시대
냉전 시대 동안 소련은 잠수함, 기뢰, 그리고 대함 미사일에 집중하는 해양 거부 전략으로 전환했다. 이러한 결정의 결과 중 하나는 SS-N-2 스틱스 미사일이었다. 더 많은 제품들이 뒤따랐고, 그들은 곧 소련 공군의 Tu-95 베어와 Tu-22 블라인더 폭격기에 탑재되었다. 공중 발사 KS-1 코멧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1967년, 이스라엘 해군의 구축함 INS 에일라트는 함정에서 발사된 미사일에 의해 침몰된 최초의 함선이었다. 이는 시나이 반도 밖에서 이집트 코마급 미사일 보트에 의해 발사된 다수의 스틱스 미사일이 원인이었다.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인도 해군은 스틱스를 사용하여 카라치의 파키스탄 해군 기지를 공격하는 두 차례의 공격을 감행했다. 이 공격으로 파키스탄 해군의 약 3분의 2가 파괴되거나 무력화되었다. 주요 손실로는 구축함 2척, 유조선, 탄약선, 약 12척의 상선, 그리고 다수의 소형 선박이 있었다. 연료 저장 탱크 및 해군 시설을 포함한 주요 육상 시설도 파괴되었다.
라타키아 해전은 1973년 (욤 키푸르/라마단 전쟁 중) 미사일 보트 간의 세계 최초의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이 전투에서 이스라엘 해군은 전자전과 기만을 방어 수단으로 사용하여 시리아 함선에 피해를 입히지 않고 시리아 함선을 파괴했다. 시리아 해군을 격파한 후 이스라엘 미사일 보트는 또한 다수의 이집트 함선을 침몰시켰고, 이 역시 어떤 피해도 입지 않았으며, 이로써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완전한 해군 우위를 달성했다.
3. 3. 포클랜드 전쟁 (1982년)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대함 미사일이 사용되었다. 영국 해군의 42형 구축함 는 공중 발사 엑조세 미사일 1발에 피격되어 침몰했다. 컨테이너선 는 엑조세 미사일 2발에 맞아 화재로 파괴되었고, 예인 중 침몰했다. 은 아르헨티나 해군 구축함 ARA ''Comodoro Seguí''에서 떼어낸 발사기를 트레일러에 장착하여 발사한 엑조세 함정 발사 버전(MM38)에 피격되었으나, 회피 기동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했다. 아르헨티나 공군은 프랑스제 엑조세 미사일을 사용하여 영국 해군 구축함 셰필드와 수송선 애틀랜틱 컨베이어를 격침시켰다.
3. 4. 걸프전 및 그 이후
1987년, 이라크 미라주 F-1 전투기가 발사한 엑조세 대함 미사일이 미국 해군 유도 미사일 프리깃 에 명중했다. ''Stark''는 피해를 입었지만 임시 수리를 위해 우호적인 항구로 항해할 수 있었다.[5] 같은 해 10월에는 리베리아 선적의 미국 소유 유조선인 ''Sungari''와 미국 선적의 쿠웨이트 유조선인 가 이란 HY-2 미사일에 피격되었다.[5]
1988년 프레이잉 맨티스 작전에서 페르시아만에서 미국과 이란 군대가 모두 대함 미사일(AShM)을 발사했다. 이 해전에서 여러 이란 군함이 미국 AShM (및 대함 역할에서 이중 역할을 수행하던 미 해군의 스탠다드 미사일 - 지대공 미사일)에 맞았다. 미국 해군은 Sahand에 세 개의 하푼 미사일, 네 개의 AGM-123 스키퍼 로켓 추진 폭탄, 하나의 월아이 TV 유도 폭탄, 그리고 여러 개의 "철제 폭탄"을 명중시켰다. 많은 탄약과 성공적인 명중에도 불구하고 ''Sahand''는 화재가 그녀의 탄약고에 도달하여 폭발하면서 침몰할 때까지 침몰하지 않았다.[5] 같은 교전에서 미국 군함은 이란 해군 코르벳함에 세 발의 스탠다드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 코르벳함은 물 위로의 돌출부가 너무 낮아서 몇 분 후에 도착한 하푼 미사일이 표적 레이더로 이를 추적할 수 없었다.[5]
2006년, 레바논 헤즈볼라 전사들은 이스라엘 코르벳 에 AShM을 발사하여 전투 피해를 입혔지만, 이 군함은 자력으로 이스라엘로 돌아갔다.[5] 이와 같은 일제 사격에서 두 번째 미사일은 이집트 상선을 명중시켜 침몰시켰다.[5]
2022년 4월 13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 순양함 ''모스크바''를 두 발의 R-360 넵튠 미사일로 공격하여 침몰시켰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정부는 이 공격을 확인하지 않았지만, 선박이 화재 후 침몰했다고 인정했다.[6] 우크라이나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모스크바''는 미국 해군 퇴역 대령이자 미 태평양 사령부 합동 정보 센터의 전 작전 국장인 칼 슈스터에 따르면 미사일에 의해 무력화되거나 파괴된 가장 큰 군함일 수 있다.[7]
1991년 2월 25일, 제1차 걸프 전쟁 중에는 이라크의 실크웜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미주리''가 발사한 채프를 ''재럿''의 팰랭스 시스템이 오인하여 ''미주리''에 사격을 가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0] 이후 글로스터에서 씨 다트 미사일이 발사되어 이라크 미사일을 파괴했고, 해상 전투에서 미사일이 미사일을 요격하는 최초의 성공적인 교전을 달성했다.
2016년 이후 홍해와 바브엘만데브 해협 일대에서 후티 반군과 미 해군 함정 간의 대함 미사일 교전이 여러 차례 발생했다. 특히 2016년 10월에는 이 여러 차례 미사일 공격을 받았으며, 대응 과정에서 RIM-162 ESSM과 SM-2 스탠다드 미사일을 사용하여 접근하는 미사일을 요격했다.[14][15][17] 이는 함정 기반 대공 미사일이 전투에서 사용된 최초의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2023년과 2024년에도 홍해와 아덴만에서 후티 반군이 발사한 대함 탄도 미사일 및 순항 미사일을 미 해군이 요격하는 사건이 계속 발생했다.[21][22][23][24][25][26][27][28][29][30]
4. 위협과 대응
4. 1. 위협
대함 미사일은 현대 해군 함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탐지가 어렵고, 일단 탐지되어도 함선은 미사일보다 빠르거나 민첩하게 움직일 수 없어 회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8] 특히, 초음속, 저고도 비행, 스텔스 기능 등을 갖춘 최신 대함 미사일은 요격이 더욱 어렵다.현대 해군은 대함 미사일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항공모함 기동 부대의 경우,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탑재한 전투기를 이용한 전투 초계 (CAP)가 1차 방어선이다. 이들은 기동 부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위협적인 비행 프로필로 접근하는 항공기를 요격하거나, 미사일 자체를 요격한다.

그러나 일부 대함 미사일은 이러한 방어를 뚫고 들어올 수 있다. 또한 많은 현대 군함들은 항공모함 기반의 공중 방어와는 별도로 운용되며, 자체적인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해군의 미사일 순양함, 미사일 구축함, 그리고 영국 해군의 45형 미사일 구축함과 같은 일부 군함들은 레이더 시스템, 통합 컴퓨터 사격 통제 시스템, 그리고 민첩한 지대공 미사일 (SAM)을 조합하여 여러 개의 접근하는 대함 미사일이나 적대적인 군용기를 동시에 추적, 교전, 파괴한다. 미국 해군의 주요 방어 시스템인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일본, 스페인, 노르웨이, 대한민국, 호주 해군에서도 사용된다.
[[파일:Khalij_Fars_(“Persian_Gulf”)_ballistic_missile.jpg|thumb|이란의 페르시아만 대함 탄도 미사일
중거리 SAM 미사일에 의한 요격을 피한 미사일은 전자전 또는 유인탄으로 속이거나, 단거리 미사일, 주포 무장,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등으로 요격한다.
이러한 방어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국가에서는 표적 근처에서 초음속으로 고기동 스프린트를 하는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SS-N-27 시즐러는 미국 해군의 방어 시스템을 관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8]
최근에는 탄도 미사일이 대함 역할로 용도 변경되거나 설계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대함 탄도 미사일은 매우 빠르게 표적에 접근하여 요격하기 매우 어렵다.[9]
4. 2. 대응
대함 미사일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지대공 미사일,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 대공포, 전자전 장비, 미끼 시스템 등이 있다.[9] CIWS에는 소련 또는 러시아제 AK-630 또는 카쉬탄, 터키 아셀산 괵데니즈, 독일 밀레니엄 건 또는 팰랭스와 골키퍼가 포함된다. 이들은 함선 갑판에 장착된 자동화된 포 시스템으로, 레이더를 사용하여 접근하는 미사일을 추적한 다음 표적에 대한 최종 접근 단계에서 격추를 시도한다. 대공포에는 Mk 45 5인치 함포 또는 AK-130가 있다. 전자전 장비로는 AN/SLQ-32 전자전 시스템이 있으며, 미끼 시스템으로는 채프, 미 해군의 Mark 36 SRBOC 시스템, 플레어 또는 Nulka와 같은 더 적극적인 미끼가 있다.[8]이러한 방어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와 같은 국가들은 SS-N-27 시즐러와 같이 표적 근처의 짧은 범위까지 매우 낮은 고도로 순항하다가, 레이더 탐지가 불가피해지는 시점에서 초음속, 고기동으로 대공 미사일 탐지 및 회피를 시도하는 미사일을 개발하거나 배치하고 있다.
스텔스 기술을 사용하는 함선은 함선의 레이더 단면적(RCS)을 줄여 레이더 신호를 감소시키거나, 함선의 적외선 및 음향 신호를 제한하여 탐지 위험을 줄일수 있다.
1970년대부터 소비에트 연방은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인 R-27(SS-N-6)을 기반으로 한 대함 버전인 R-27K를 개발하여 발사 시험을 하였다. 미국에서도 퍼싱 II를 대함 병기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제1차 전략 무기 제한 협정(SALT I)과 중거리 핵전력 폐기 조약(INF 조약)의 영향으로 배치되지는 못했다.
199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접근 거부/지역 거부(A2/AD) 능력의 일환으로 대함 탄도 미사일(ASBM) 개발 및 배치를 추진하였다. 2010년에는 DF-21D, 2018년에는 이 배치를 시작했다. 이러한 대함 탄도 미사일은 매우 빠르게 표적에 접근하여 요격하기가 매우 어렵다.

5. 종류
5. 1. 유도 방식
5. 2. 발사 플랫폼
대함 미사일은 발사 플랫폼에 따라 함상 발사형(SSM), 공중 발사형(ASM), 지상 발사형, 잠수함 발사형으로 나뉜다.함상 발사형 (SSM)함상 발사형은 군함에서 발사되는 대함 미사일이다. 소비에트 연방은 단거리 P-15(SS-N-2)를 1959년부터 미사일정에 탑재하여 배치하기 시작했다. 1960년에는 사거리 463km의 P-6(SS-N-3)를 개발하여 잠수함과 미사일 순양함에 탑재했다.
미국 해군은 함대공 미사일(SAM)로 대함 무기를 겸용하려 했고, 함상 발사형 순항 미사일은 대지용 전략 병기로 배치했다. 그러나 북유럽 국가나 이스라엘은 함대함 미사일에 주목하여, 1966년 스웨덴은 RB 08을, 1972년에는 이스라엘이 가브리엘을, 노르웨이가 펭귄을 배치했다.
1967년 이집트 해군의 미사일정이 이스라엘 해군의 구축함 "에일라트"를 격침하면서 SSM의 위협이 커졌다.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의 라타키아 해전은 해전의 미사일화를 상징하는 전투였다. 이후 하푼 등 ASM과 공통화된 SSM이 주류가 되었다.
SSM은 수상함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원거리 탐지에 어려움이 따른다. 초기 SSM은 전파 수평선 문제로 비교적 단거리에서 교전이 벌어졌다. 소련은 항공기나 위성을 이용한 ISR 시스템을 구축하고 함 자체에 간이 OTH 레이더를 탑재했다. NATO 국가들은 LAMPS 등 함재 헬리콥터로 목표를 포착하는 체제를 정비했다.

공중 발사형 (ASM)공중 발사형은 항공기에서 발사하는 대함 미사일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은 1943년부터 Hs.293을 실전 투입했다. 일본도 개발을 시도했지만 실전 투입에는 이르지 못했다.
전후 소비에트 연방은 1953년 MiG-15 전투기를 무인화한 KS-1(AS-1)을 개발했다. 1966년에는 최대 사정거리 648km를 자랑하는 KSR-5(AS-6)를 배치했다.
서방 국가에서는 소형, 단사정 미사일 개발이 선행되었다. 1959년 미국 해군은 불펍을 배치했다. 1970년대 NATO 국가들은 전파, 광파 호밍 유도식 공대함 미사일을 실용화했다. 엑조세는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영국 해군의 셰필드를 격침시켜 유명해졌다. 일본 항공자위대는 1980년 80식 공대함 유도탄(ASM-1)을 제식화했다.
초기 대함 미사일은 작고 빠른 속도로 요격을 피했지만, 이후 시스키밍이나 초음속화 등의 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5. 3. 주요 대함 미사일 (비교표)
이름 | 개발 연도 | 무게 | 탄두 | 사거리 | 속도 | 추진 방식 | 발사 플랫폼 | 유도 방식 | 운용 국가 | 비고 |
---|---|---|---|---|---|---|---|---|---|---|
지르콘[31] | 예상 (2018-[32] 2020)[33] | 발사대 1기당 P-700 1기 대신 크기 4개 | 300-400kg 재래식 또는 핵무기 | 400km (수출용) >1000km (국내용)[34] | 최소 4700 km/h (마하 5~6) [33] 최대 마하 8까지 가능성[35] | 액체 연료 스크램제트 | 수상, 잠수함 | 러시아 | ||
3M-54E 클럽 (SS-N-27 "시즐러") | 2006 | 2300kg | 200kg | 220km | 0.8 M, 2.5/2.9M | 터보제트 | 수상, 잠수함, 해상 컨테이너 | 관성, 능동 레이다 | 러시아 | |
3M-54E1 클럽 (SS-N-27 "시즐러") | 2006 | 1780kg | 400kg | 300km | 0.8 M, 2.5/2.9M | 터보제트 | 수상, 잠수함, 해상 컨테이너 | 관성, 능동 레이다 | 러시아 | |
3M-54 칼리브 (SS-N-27 "시즐러") | 1993 | 1300kg | 200kg | 660km | 0.8 M, 2.5/2.9M | 터보제트 | 수상, 잠수함, 해상 컨테이너 | 관성, 능동 레이다 | 러시아 | 실전 배치 |
P-1000 불칸 | 1985 | 6300kg | 500kg | 700 및 1000 (근사치.) km (또는 800 km[36]) | 3825 km/h | 고체 연료 램제트 | 수상 | 관성, 능동 레이다 호밍/대 레이더, 중간 코스 수정 | 소련/러시아 | |
P-800 오닉스 (SS-N-26) | 1983 | 3000kg | 250kg | 800km (오닉스-M) 600km (러시아 국내용 버전) | 3600 km/h | 램제트 | 수상, 공중 | 능동-수동, 레이다 | 러시아 | |
P-700 그래닛 | 1980 | 7000kg | 750kg | 625km | 2550 km/h | 고체 연료 램제트 | 수상 | 관성, 능동 레이다 호밍/대 레이더, 중간 코스 수정 | 소련/러시아 | |
P-500 바잘트 (SS-N-12 SANDBOX) | 1975 | 4500kg | 1000 kg / 350 kt 핵탄두 | 550km | 3060 km/h | 액체 연료 로켓 | 수상, 잠수함 | 반능동, 종말 능동 레이다 | 소련 | |
P-270 모스키트 (SS-N-22 SUNBURN) | 1970 | 4500kg | 320kg | 120km | 3600 km/h | 램제트 | 수상, 공중 | 능동 레이다, 적외선 | 소련 | |
P-120 말라히트 (SS-N-9 SIREN) | 1972 | 2953kg | 500kg | 110km | 마하 0.9 | 터보제트, 고체 연료 | 수상 | 관성, 중간 코스 수정, 능동 레이다 | 소련 | 실전 배치 |
P-70 아메티스트 (SS-N-7 STARBRIGHT) | 1968 | 3500kg | 500kg | 65km | 1050 km/h | 고체 로켓 | 잠수함 | 관성, 종말 호밍 | 소련 | |
P-15 테르밋 (SS-N-2 STYX) | 1958 | 3100kg | 454kg | 80km | 1100 km/h | 액체 연료 로켓 | 수상 | 능동 레이다, 적외선 | 소련 | 실전 배치 |
P-5 퍄티요르카 (SS-N-3 "섀독") | 1959 | 5000kg | 1000kg | 750km | 1000 km/h | 터보제트 | 수상 | 관성, 중간 코스 수정, 능동 레이다 | 소련 | |
Kh-15 (AS-16 Kickback) | 1988 | 1200kg | 150 kg 재래식/핵탄두 | 300km | 6125 km/h | 고체 연료 로켓 | 공중 | 관성/능동 레이다 | 소련/러시아 | |
Kh-55 | 1984 | 1700kg | 410kg 재래식/200 kt 핵탄두 | 300km | 828 km/h | 터보팬 | 공중 | 레이다 관성, TERCOM, 적외선 | 소련/러시아 | |
Kh-35 (AS-20 KAYAK) | 1983 | 520kg | 145kg | 130km | 970 km/h | 터보팬 | 수상, 공중 | 관성, 능동 레이다 | 소련/러시아/북한 | |
Kh-22 (AS-4 Kitchen) | 1962 | 5820kg | 1000 kg 재래식/핵탄두 | 400km | 4000 km/h | 액체 연료 로켓 | 공중 | 관성 | 소련/러시아 | |
KSShch (SS-N-1 "스크러버") | 1958 | 2300kg | 핵탄두 | 40km | 1150 km/h | 액체 연료 로켓 | 수상 | 관성 | 소련 | |
SM-6 | 2013 | 1500kg | 64kg | 370km | 4287.7 km/h | 2단/고체 로켓 부스터 | 수상 전투함, 수송 발사대 | 관성 유도, 능동 레이다 호밍, 반능동 레이다 호밍 | 미국 | (대함 버전은 2023년에 실전 배치될 예정.) |
AGM-158C LRASM | 2013[37] / 2018[38] | ~900 kg | 450 kg | 370-560km[39][40][41] | 아음속 | 터보제트 | 공중, 함정 | 수동 레이다 및 적외선 호밍 | 미국 | |
AGM-123 스키퍼 II | 1985 | 582kg | 450kg | 25km | 1100 km/h | 고체 추진 연료 | 공중 | 레이저 유도 | 미국 | 실전 배치 |
BGM-109 토마호크 | 1983 | 1200kg | 450kg | 1666km (블록 V) [42] | 880 km/h | 터보팬 | 공중, 수상, 잠수함 | GPS, TERCOM, DSMAC | 미국 | (이전 대함 버전은 1994년에 퇴역, 새로운 대함 버전은 2023년에 실전 배치될 예정.) |
하푼 | 1977 | 691kg | 221kg | 280km | 864 km/h | 터보제트 엔진 | 공중, 수상, 잠수함 | 레이다 (B3: 중간 코스 갱신) | 미국 | 실전 배치 |
AGM-65F 매버릭 | 1972 | 300kg | 140kg | 30km | 1,150 km/h | 고체 추진제 | 공중 | 레이저, 적외선 | 미국 | 실전 배치 |
배트 | 1944 | 1000kg | 727kg | 37km | 260–390 km/h | 없음 | 공중 | 능동 레이다 | 미국 | 실전 배치 |
MMP | 2017 | 15kg | 5km | 고체 추진제 | 수상 | 적외선 | 프랑스 | |||
ANL/씨 베놈 | 2017 | 120 kg | 30kg | 20km | 1040.4 km/h | 2단 고체 추진 로켓 모터 | 공중 (헬리콥터), 수상 | 적외선 | 프랑스/영국 | |
AS.34 코르모란 | 1991 | 630kg | 220kg | 35km | 1101 km/h | 로켓 | 공중 | 관성, 능동 레이다 | 프랑스/독일 | |
AS.15TT/MM.15 | 1985 | 96kg | 30kg | 15km | 1008 km/h | 고체 추진제 | 공중 | 관성 | 프랑스 | |
ARMAT | 1984 | 550kg | 160kg | 120km | 1100 km/h | 고체 추진제 | 공중 | 수동 레이다 | 프랑스 | |
오토마트/밀라스 | 1977 | 770kg | 210kg | 360km (최소.) | 1116 km/h | 터보제트 | 수상, 공중 | 관성, GPS, 능동 레이다 | 프랑스/이탈리아 | |
엑조세 | 1975 | 670kg | 165kg | 180km | 1134 km/h | 고체 추진제 (블록 1, 블록 2), 터보제트 (블록 3) | 공중, 수상, 잠수함 | 관성, 능동 레이다 | 프랑스 | 실전 배치 |
AS.37/AJ.168 마르텔 | 1970 | 550kg | 150kg | 60km | 1070 km/h | 고체 추진제 | 공중 | 수동 레이다, TV | 프랑스/영국 | 실전 배치 |
말라폰 | 1966 | 1330kg | 13km | 808 km/h | 고체 추진제 | 함정, 수상 | MCLOS (무선 통신) | 프랑스 | ||
SS.12/AS.12 | 1960 | 76kg | 28kg | 7km | 370 km/h | 고체 추진 연료 | 공중, 수상 | 유선 유도 MCLOS | 프랑스 | 실전 배치 |
말라페이스 | 1954 | 1430kg | 700kg | 40km | 808 km/h | 고체 추진제 | 수상 | MCLOS (무선 통신) | 프랑스 | |
BHT-38 | 1940 | 160kg | 없음 (글라이드 폭탄) | 공중 | MCLOS (무선 통신) | 프랑스 | ||||
씨 이글 | 1985 | 580kg | 230kg | 110km (최소.) | 1000 km/h | 터보제트 | 공중 | 관성, 능동 레이다 | 영국 | |
씨 스쿠아 | 1983 | 145kg | 28kg | 25km | 950 km/h | 고체 연료 | 공중 | 반능동 레이다 | 영국 | 실전 배치 |
RBS-15 | 1985 | 800kg | 200kg | 200km | 1101 km/h | 터보제트 | 공중, 수상 | 관성, GPS, 레이다 | 스웨덴 | |
RB 08 | 1966 | 70km | 아음속 | 터보제트 | 수상 | 무선 통신 능동 레이다 | 스웨덴/프랑스 | |||
RB 04 | 1962 | 600kg | 300kg | 32km | 아음속 | 고체 추진제 | 공중 | 능동 레이다 | 스웨덴 | |
해군 타격 미사일 | 2009 | 410kg | 125kg | 250km | 고속 아음속 | 터보제트 및 고체 연료 부스터 | 공중, 수상 | 관성, GPS, 지형 참조, 영상 IR, 표적 데이터베이스 | 노르웨이 | |
펭귄 | 1972 | 385kg | 130kg | 55km (최소.) | 1468 km/h | 고체 추진제 | 공중, 수상, 잠수함 | 관성, 레이저, 적외선 | 노르웨이 | |
프리츠 X | 1943 | 1362kg | 320kg | 5km | 1235 km/h | 없음 (글라이드 폭탄) | 공중 | 수동 (무선 통신) | 독일 | 실전 배치 |
헨셸 Hs 293 | 1943 | 1045kg | 295kg | 5km | 828 km/h | 액체 추진제, 이후 글라이딩 | 공중 | MCLOS (무선 통신) | 독일 | 실전 배치 |
블롬 & 포스 BV 246 | 1943 | 730kg | 435kg | 210km | 450 km/h | 없음 (글라이드 폭탄) | 공중 | 수동 (무선 통신) | 독일 | |
RK-360MC 넵튠 | 2021 | 870kg | 150kg | 300km | 아음속 | 터보팬 | 지상 기반 TEL | 우크라이나 | 실전 배치[43] | |
브라모스-II | 2030년대 | 1000km 400km(수출 버전) | 6125–8575 km/h | 스크램제트 | 함정, 수상, 공중, 잠수함 | 인도/러시아 | ||||
브라모스 | 2006 | 2500kg (공중), 3000kg (지상) | 300kg | 800km 또는 290km(수출 버전) | 3675 km/h | 램제트 | 함정, 수상, 공중, 잠수함 | INS, 위성 항법, ARH | 인도/러시아 | |
차키르 (미사일) | 2023 | 275-330kg | 70kg | 150-200km | 919-1040 km/h | 터보제트 | 함정, 수상, 공중 | 관성, IIR, RF, 하이브리드 (IIR+RF) | 터키 | |
아트마카 | 2017 | 750kg | 220kg | 250km +280km (KARA 아트마카)[44][45] | 1042 km/h | 터보제트 | 함정, 수상, 공중 | 관성/GPS+RA+DL+IIR | 터키 | |
SOM (미사일) | 2006 | 600kg | 230kg | SOM-A:250km SOM-J:185km | 1153 km/h | 터보제트 | 공중 | 관성 / GPS, 지형 참조 항법, 자동 표적 인식, 영상 적외선 | 터키 | |
XASM-3 | 2016 | 940kg | 150km(원래 버전) 400km(사거리 연장) | 3707 km/h | 램제트 | 공중 | 관성 / GPS, 중간 코스 수정, 능동/수동 레이다 | 일본 | ||
12식 | 2015 | 700kg | ? | 200km(원래 버전) 400km(함정/공중 발사 및 개량 버전) 900km(개발 중인 업그레이드) 1500km(미래 버전) | ? | 터보제트 | 함정, TEL, 공중 | 관성, GPS, AESA | 일본 | |
93식 | 1993 | 530kg | 170km | 터보제트 | 공중 | 관성 및 IR 이미지 | 일본 | |||
91식 | 1991 | 510kg | 260kg | 150km | 터보제트 | 공중 | 관성, 중간 코스 수정, 능동 레이다 | 일본 | ||
80식 | 1982 | 600kg | 150kg | 50km | 터보제트 | 공중 | 적외선 | 일본 | ||
오카 | 1943 | 2140kg | 1200kg | 36km | 630 km/h | 고체 추진제 | 공중 | 유도병기 (자살 공격) | 일본 | 실전 배치 |
슝펑 III | 2007 | 1470kg | 400km | 3,062 km/h | 램제트 | 함정, 수상, 공중 | 관성 / 능동 레이다 | 대만 | ||
슝펑 IIE | 2011 | 1600kg | 600-2,000km | 1,041 km/h | 고체 로켓 | 함정, 수상, 공중 | 관성/GPS/TERCOM | 대만 | ||
슝펑 II | 1990 | 685kg | 180kg | 20-250km | 1,041 km/h | 고체 로켓 | 함정, 수상, 공중 | 관성 중간 비행 / 듀얼 능동 레이다 및 적외선 호밍 | 대만 | |
슝펑 I | 1978-2012 | 537.5kg | 150kg | 40km | 833 km/h | 고체 로켓 | 함정, 수상, 공중 | 관성 / 레이다 빔 라이딩 및 종말 반능동 호밍 | 대만 | |
가브리엘 | 1962 | 522kg | 150kg | 60km | 840 km/h | 고체 로켓 | 공중, 수상 | 능동 레이다 | 이스라엘 | 실전 배치 |
해성-I (SSM-700K) | 2005 | 718kg | 300kg | 150km | 1013 km/h | 터보제트 | 함정, 수상 | 관성, 능동 레이다 | 대한민국 | |
누르 | 2005 | 750kg | 165kg | 30-220km | 1110-1728 km/h | 터보제트 엔진 | 공중, 수상, 함정 | 관성, 능동 레이다 호밍 | 이란 | 실전 배치 |
자파르 | 2012 | 120kg | 30kg | 25km | 0.8 M | 터보제트 | 수상, 함정 | 능동 레이다 | 이란 | |
P15 & 실크웜 KN1 | 터보팬 | 수상, 연안 |
6. 대한민국의 대함 미사일
6. 1. 개발 및 운용 현황
6. 2. 한국의 안보적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crsreports.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4-04-30
[2]
웹사이트
Will The U.S. Navy Replace The Destroyers’ Harpoon Anti-Ship Missiles With Naval Strike Missiles?
https://www.navalnew[...]
Naval News
2024-04-30
[3]
웹사이트
Ship-based Weapon Complex System - BrahMos.com
https://www.brahmos.[...]
2024-02-24
[4]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CL (R) Ing. Julio Pérez, chief designer of Exocet trailer-based launcher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Photos of Sahand on fire
https://web.archive.[...]
Navybook.com
2014-11-13
[6]
뉴스
Russian warship: Moskva sinks in Black Sea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4-15
[7]
뉴스
Russian navy evacuates badly damaged flagship in Black Sea. Ukraine claims it was hit by a missile
https://www.cnn.com/[...]
CNN
2022-04-14
[8]
웹사이트
Navy Lacks Plan to Defend Against 'Sizzler' Missile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4-11-13
[9]
웹사이트
Chinese Anti-Ship Ballistic Missile (ASBM) 'Kill Weapon' Flummoxes U.S. Navy
http://www.defensere[...]
DefenseReview.com (DR): An online tactical technology and military defense technology magazine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latest and greatest tactical firearms news (tactical gun news), tactical gear news and tactical shooting news.
2014-11-13
[10]
웹사이트
Tab-H Friendly-fire Incidents
http://www.gulflink.[...]
Gulflink.osd.mil
2010-04-13
[11]
웹사이트
US Navy ship targeted in failed missile attack from Yemen
2016-10-09
[12]
뉴스
Missiles Fired From Yemen Target U.S. Navy Ship in Failed Attack
Bloomberg
2016-10-10
[13]
뉴스
Yemen: Missiles target U.S. warship, Pentagon says
CNN
2016-10-10
[14]
웹사이트
USS Mason Fired 3 Missiles to Defend From Yemen Cruise Missiles Attack
U.S. Naval Institute
2016-10-12
[15]
웹사이트
U.S. Navy Successfully Thwarts Attack With First Engagement of Missile Defense System
Foxtrot Alpha
2016-10-13
[16]
웹사이트
Pentagon Pledges to Respond in 'Appropriate Manner' After New Yemen Missile Attack on USS Mason
U.S. Naval Institute
2016-10-12
[17]
웹사이트
Aegis defense system helped stop missile attack on USS Mason
Stars and Stripes
2016-10-15
[18]
웹사이트
U.S. military strikes Yemen after missile attacks on U.S. Navy ship
Reuters
2016-10-12
[19]
뉴스
Yemen conflict: U.S. strikes radar sites after missile attack on ship
2016-10-13
[20]
웹사이트
Four ship crews receive Combat Action Ribbon
2017-11-10
[21]
뉴스
"Massive One-Day Barrage of Houthi Attacks on Shipping Fended Off by Navy Destroyer, Fighter"
2023-12-26
[22]
웹사이트
Iranian-backed Houthi small boats attack merchant vessel and U.S. Navy helicopters in Southern Red Sea
2023-12-31
[23]
웹사이트
Missile fired from Houthi-controlled Yemen strikes merchant vessel in Red Sea, Pentagon says
https://www.cbsnews.[...]
2023-12-31
[24]
웹사이트
US CENTCOM Statement on 26th Houthi attack on commercial shipping lanes in the Red Sea
https://www.centcom.[...]
[25]
뉴스
Yemen Houthi rebels fire missile at US warship in Red Sea in first attack after American-led strikes
Associated Press
2024-01-14
[26]
뉴스
"Navy's SM-6 Missile Used In Combat: Report"
2024-02-01
[27]
웹사이트
US warship had close call with Houthi missile in Red Sea
2024-01-31
[28]
웹사이트
A Houthi missile got so close to a US destroyer the warship turned to a last resort gun system to shoot it down: report
2024-01-31
[29]
뉴스
Iranian-Backed Houthi Terrorists conduct Multiple Anti-Ship Ballistic Missile Attacks in the Southern Red Sea and Gulf of Aden
https://www.centcom.[...]
[30]
뉴스
Feb. 19 and early morning Feb. 20 Red Sea Update
https://www.centcom.[...]
U.S. Central Command
2024-04-12
[31]
웹사이트
Крейсер "Адмирал Нахимов" получит гиперзвуковые ракеты
http://rg.ru/2015/10[...]
2016-01-31
[32]
뉴스
Russia has created an 'unstoppable' 4,600mph missile
https://www.independ[...]
2017-09-19
[33]
웹사이트
Russia's hypersonic Zircon missile to go into serial production in 2018
http://tass.ru/en/de[...]
2016-05-13
[34]
웹사이트
Для гиперзвуковых крылатых ракет в России создано принципиально новое топливо
http://www.vesti.ru/[...]
2017-05-25
[35]
웹사이트
На испытаниях российская ракета "Циркон" достигла восьми скоростей звука
http://www.vesti.ru/[...]
2017-04-15
[36]
웹사이트
Никому в мире и не снилось: почему ракете "Вулкан" до сих пор нет равных на планете
http://tvzvezda.ru/n[...]
Tvzvezda.ru
2018-01-01
[37]
웹사이트
LRASM / Long Range Anti-Ship Missile
http://www.deagel.co[...]
2010-11-14
[38]
웹사이트
Arming New Platforms Will Push Up Value Of Missiles Market
http://aviationweek.[...]
2016-05-13
[39]
웹사이트
About the FlightGlobal Group - Blogs Announcement - flightglobal.com
https://www.flightgl[...]
2018-04-13
[40]
웹사이트
US Navy's New Anti-Ship Missile Makes Progress
http://www.ainonline[...]
2015-12-15
[41]
웹사이트
A Bridgehead Too Far? CSBA's Aggressive, risky Strategy For Marines
http://breakingdefen[...]
2016-11-15
[42]
웹사이트
US Navy set to receive latest version of the Tomahawk missile
https://www.defensen[...]
2021-03-17
[43]
웹사이트
A Russian warship in the Black Sea was sunk by Ukrainian missiles, U.S. Official says
https://www.npr.org/[...]
2022-04-15
[44]
웹사이트
Roketsan - KARA ATMACA Surface-To-Surface Cruise Missile
https://www.roketsan[...]
[45]
웹사이트
ATMACA ANTI-SHIP MISSILE – Roketsan
https://www.roketsan[...]
2021-06-19
[46]
웹사이트
Grupo EDGE apresenta o míssil antinavio MANSUP-ER no Dubai Air Show
https://www.naval.co[...]
2023-11-14
[47]
웹사이트
Smaller, slower than BrahMos, but deadly: Why desi anti-ship missile matters
https://www.theweek.[...]
2022-05-18
[48]
뉴스
Navy F/A-18 combat jets getting laser-guided JDAM smart bombs to attack moving targets
https://www.intellig[...]
Endeavor Business Media, LLC
2016-09-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